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시그마 BF, 장단점, 결론 시그마 BF 시그마 BF는 2023년에 출시된 독특한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카메라와는 확연히 다른 미니멀리즘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견고한 알루미늄 블록 하나를 깎아 만든 듯한 외관이 눈길을 끕니다. 바디에는 오직 필수적인 버튼과 다이얼만 남겨, 사용자가 오로지 사진 촬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이 카메라는 사진의 본질에 집중하는 ‘순수한 촬영 경험’을 추구합니다. 24.6메가픽셀 풀프레임 BSI 센서, 그리고 빠르고 정확한 하이브리드 자동초점 시스템을 탑재해, 뛰어난 화질과 촬영 성능을 제공합니다. 내장 230GB SSD 저장장치 덕분에 메모리카드 없이도 촬영이 가능하며, 데이터 관리가 간편합니다.반면, 흔히 기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IBIS), 전자식 뷰파인더(.. 2025. 8. 6.
소니 RX1R 마크3, 장단점, 결론 소니 RX1R 마크3풀프레임 카메라는 성능이 좋은 만큼 크고 무겁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Sony는 그 공식을 깼습니다.무려 61MP의 풀프레임 센서를 주머니에 들어갈 정도의 작은 바디에 담은 RX1R III.단순한 콤팩트 카메라가 아니라, 전문가도 감탄할 만한 성능을 품은 이 작은 카메라에 대해 궁금하신가요?오늘은 소니 RX1R III의 주요 장점과 단점, 그리고 결론을 나누어 자세히 소개합니다. 장단점장점1. 61MP 고해상도 풀프레임 센서RX1R III는 Sony의 최고급 미러리스 A7R V와 동일한 Exmor R 61MP 풀프레임 센서를 탑재했습니다.이 덕분에 디테일 표현, 다이내믹 레인지, 색감 모두 최고 수준입니다.풍경, 스냅, 제품 촬영 등 어떤 장르든 놀라운 퀄리티를 구현할 수 있습니.. 2025. 8. 6.
DJI 오즈모 360, 장단점, 결론 DJI 오즈모 360360도 카메라는 이제 영상 콘텐츠 제작에서 빠질 수 없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공간 전체를 담아내는 몰입감 있는 촬영 방식은 여행 브이로그, 부동산 영상, 스포츠 액션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DJI는 오랫동안 드론과 액션캠 시장을 이끌어온 브랜드인데, 이번에 야심 차게 선보인 제품이 바로 DJI 오즈모 360 (DJI Osmo 360)입니다.그렇다면 이 제품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일까요? 실제로 어떤 사람들에게 적합한 제품인지, 사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장단점 장점1. 업계 최고 수준의 화질DJI 오즈모 360은 **8K 50프레임(또는 5.7K 100fps)**까지 촬영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는 현존하는 소비자용 360 카메라.. 2025. 8. 6.
사진 기능사 자격증 후기, 주의할점, 결론 사진 기능사 자격증 후기 무언가를 창작하고 싶다는 욕망은 어릴 적부터 분명히 존재했습니다.디자인 자격증도 여럿 취득했고, 디자인 회사에 들어가기 위해 몇 개월을 들여 포트폴리오도 준비했습니다.툴은 능숙하게 다룰 수 있었지만, **“내가 창작을 할 수 있는 사람인가?”**라는 질문에 확신을 갖기는 어려웠습니다.디자인은 분명히 멋진 일이었지만, 어느 순간 저는 디자인보다 예술이 하고 싶다는 감정을 자각하게 되었습니다.조직의 색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일도 해봤지만, 때로는 상상력을 펼치면 “너무 튄다”는 이유로 탈락했고,그 안에서 점점 제 ‘진짜 하고 싶은 일’과 멀어지는 기분이 들었습니다.그림을 잘 그리는 것도 아니고, 조소나 회화를 배운 적도 없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를 표현하고 싶었습니다.기술자.. 2025. 8. 6.
프리셋을 판매하려는 이유, 만드는 법, 결론 프리셋을 판매하려는 이유 저는 오랫동안 사진에 ‘보정’이라는 행위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었습니다.사진은 사실을 담는 기록이어야 하며, 필터나 효과를 더하는 건 ‘사진답지 않다’는 생각이 마음속 깊이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런 생각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요즘 넷플릭스 드라마나 유튜브 영상을 보면, 영상 자체가 영화처럼 보입니다. 가로가 길어진 시네마 프레임 때문만이 아니라, 화면 속 색감과 분위기 때문입니다. 조명과 색 보정, 카메라 필터의 조합이 영상미를 완전히 바꿔놓은 것입니다.생각해보면, 우리가 좋아하는 콘텐츠 대부분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아닙니다. 빛과 색, 구도와 그래픽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그걸 우리는 감동적으로 느끼고, .. 2025. 8. 6.
사진은 왜 비싸게 팔릴까?, 다시 인쇄하면? , 결론 사진은 왜 비싸게 팔릴까? 사진 전시를 처음 봤을 때, 마음속에 자연스레 이런 질문이 생겼습니다.“이게 수천만 원이라고? 근데 그냥 프린트잖아?”회화 작품은 붓질 하나하나가 원본입니다. 작가가 캔버스에 손을 대는 그 순간부터 완성까지의 모든 과정이 유일무이합니다.그런데 사진은 다릅니다. 디지털 파일이나 필름을 기반으로 인화하면 똑같은 걸 여러 장 만들 수 있잖아요.그렇다면, 전시에 걸린 사진은 ‘원본’일까? 아니면 그냥 인쇄본일까?더 깊이 생각해보니 궁금한 점이 많아졌습니다.안드레아스 거스키(Andreas Gursky)나 프랑크 폰타나(Frank Fontana) 같은 사진 거장들의 사진은 왜 수억 원에 거래되는 걸까?디지털 파일로 존재하는 사진도 정말 회화처럼 고유한 예술 작품이 될 수 있을까?이번 글.. 2025. 8. 6.